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예선
,
,
,
,
,
,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2019 Africa Cup of Nations
كأس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2019
파일:afcon_2019.png
대회기간6월 21일 ~ 7월 19일
개최국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본선 진출팀24개팀
대회 결과
우승알제리파일:Algeria_NFT_(logo).png
준우승세네갈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튀니지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수상
골든볼파일:Algeria_NFT_(logo).png 이스마엘 베나세르
골든부트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오디온 이갈로 (5골)
골든글러브파일:Algeria_NFT_(logo).png 라이스 음볼리
영플레이어상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레핀 디아타
페어플레이상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네갈
연표
이전 대회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봉)
다음 대회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1. 개요
2. 호스트 선정
3. 개최 도시
4. 마스코트
5. 공인구
6. 예선
7. 본선 진출국
8. 조 편성
8.1. 시드 배정
8.2. 조 편성 결과
9. 경기 결과
9.1. 조별 라운드
9.2. 결선 라운드
9.2.1. 16강
9.2.2. 8강
9.2.3. 준결승, 3, 4위 순위 결정전
9.2.4. 결승전
9.3. 토너먼트 결과
10. 결과
11. 팀별 리뷰
12.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



1. 개요[편집]




홈페이지

2019년 6월 21일부터 7월 19일까지 이집트에서 열린 32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이다. 이 대회부터 개최 날짜가 겨울인 1월에서 여름인 6월 ~ 7월로 옮겨가며, 출전국이 24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018년 12월 1일, 개최를 준비 중이던 카메룬이 개최 자격을 취소당해 이집트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이집트는 2006년 대회 이후로 13년만에 재개최하게 되었으며, 대신 카메룬은 차기 대회 개최국이 되었다.


2. 호스트 선정[편집]


카메룬이 2019년 대회를 유치하고 코트디부아르가 2021년 대회를 유치하고 기니가 2023년 대회를 유치하는 것으로 확정하였으나, 카메룬의 개최 준비 미달을 이유로 카메룬의 대회 개최를 취소했다.

카메룬을 대신할 개최지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모로코가 유력했으나, 모로코는 끝내 대회 개최를 고사했다. 또한, 이집트가 새롭게 개최를 희망하기 시작해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 중 한 나라가 개최를 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월 9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세네갈 다카르에서 카메룬을 대체할 개최지를 이집트로 결정하였다. 그 대신 CAF는 보상 차원에서 2021년 대회의 개최권을 카메룬에게 넘기고 이에 따라 코트디부아르와 기니도 개최권이 한 대회씩 밀려 2023년과 2025년에 개최하게 되었다.


3. 개최 도시[편집]



도시경기장수용능력
카이로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75000석
카이로6월 30일 스타디움30000석
카이로알 살람 스타디움30000석
수에즈수에즈 스타디움27000석
이스마일리아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22500석
알렉산드리아알렉산드리아 스타디움18500석


4. 마스코트[편집]





5. 공인구[편집]





6. 예선[편집]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예선 문서 참조.


7.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 자격 획득일진출횟수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호스트2018년 10월 16일24회
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예선 A조 1위2018년 10월 16일15회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마다가스카르예선 A조 2위2018년 10월 16일1회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예선 B조 1위2018년 11월 17일17회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예선 B조 2위2019년 3월 24일19회
파일:말리 국기.svg말리예선 C조 1위2018년 11월 17일11회
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예선 C조 2위2019년 3월 24일1회
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예선 D조 1위2018년 11월 18일18회
파일:베냉 국기.svg베냉예선 D조 2위2019년 3월 25일4회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예선 E조 1위2018년 11월 17일18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예선 E조 2위2019년 3월 25일10회
파일:가나 국기.svg가나예선 F조 1위2018년 12월 1일22회
파일:케냐 국기.svg케냐예선 F조 2위2018년 12월 1일6회
파일:짐바브웨 국기.svg짐바브웨예선 G조 1위2019년 3월 25일4회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 민주 공화국예선 G조 2위2019년 3월 25일19회
파일:기니 국기.svg기니예선 H조 1위2018년 11월 18일12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예선 H조 2위2018년 11월 18일23회
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예선 I조 1위2019년 3월 23일8회
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예선 I조 2위2018년 11월 18일1회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예선 J조 1위2018년 10월 16일19회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예선 K조 1위2019년 3월 24일2회
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예선 K조 2위2019년 3월 24일3회
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예선 L조 1위2018년 11월 17일7회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예선 L조 2위2019년 3월 25일2회

지난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한 부르키나파소가 탈락했다. 마다가스카르, 부룬디, 모리타니가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특히 예비 예선부터 출발한 마다가스카르는 예선에서 세네갈과 함께 24개국 중 가장 먼저 본선에 올랐다.

8. 조 편성[편집]





8.1. 시드 배정[편집]




8.2. 조 편성 결과[편집]




9. 경기 결과[편집]






9.1. 조별 라운드[편집]



9.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33005 - 0+5916강 진출
2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31113 - 30416강 진출
3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 민주 공화국31024 - 40316강 진출
4파일:짐바브웨 국기.svg짐바브웨30121 - 6-51탈락
16강 진출| 탈락

9.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마다가스카르32105 - 2+3716강 진출
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2012 - 20616강 진출
3파일:기니 국기.svg기니31114 - 3+1416강 진출
4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30030 - 4-40탈락
16강 진출| 탈락

9.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33006 - 0+6916강 진출
2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32015 - 1+4616강 진출
3파일:케냐 국기.svg케냐31023 - 7-43탈락
4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30032 - 8-60탈락
16강 진출| 탈락

9.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33003 - 0+3916강 진출
2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32015 - 2+3616강 진출
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31021 - 2-1316강 진출
4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30031 - 6-50탈락
16강 진출| 탈락

9.1.5. E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말리 국기.svg말리32106 - 2+4716강 진출
2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30302 - 20316강 진출
3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30211 - 2-12탈락
4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30211 - 4-32탈락
16강 진출| 탈락

9.1.6. F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가나 국기.svg가나31204 - 2+2516강 진출
2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31202 - 0+2516강 진출
3파일:베냉 국기.svg베냉30302 - 20316강 진출
4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30120 - 4-41탈락
16강 진출| 탈락

9.1.7. 조 3위간 순위 결정[편집]


조 3위간 순위 결정표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B조파일:기니 국기.svg기니311143+1416강 진출
2A조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 민주 공화국3102440316강 진출
3F조파일:베냉 국기.svg베냉3030220316강 진출
4D조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310212-1316강 진출
5C조파일:케냐 국기.svg케냐310237-43조별라운드 탈락
6E조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302112-12조별라운드 탈락

9.2. 결선 라운드[편집]



9.2.1. 16강[편집]




9.2.2. 8강[편집]




9.2.3. 준결승, 3, 4위 순위 결정전[편집]




9.2.4. 결승전[편집]




9.3. 토너먼트 결과[편집]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두 번째 우승)


10.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
1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7610132+1119우승
2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750282+615준우승
3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750297+2153위
4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723265+194위
5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531142+2108강 진출
6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522177088강 진출
7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520334-168강 진출
8파일:베냉 국기.svg 베냉504134-148강 진출
9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431041+31016강 진출
10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430151+4916강 진출
11파일:말리 국기.svg 말리421163+3716강 진출
12파일:가나 국기.svg 가나413053+2616강 진출
13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412143+1516강 진출
14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4112660416강 진출
15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411234-1416강 진출
16파일:기니 국기.svg 기니411246-2416강 진출
17파일:케냐 국기.svg 케냐310237-43조별 라운드 탈락
18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302112-12조별 라운드 탈락
19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301214-31조별 라운드 탈락
20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301204-41조별 라운드 탈락
21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301216-51조별 라운드 탈락
22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300304-40조별 라운드 탈락
23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300316-50조별 라운드 탈락
24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300328-60조별 라운드 탈락


11. 팀별 리뷰[편집]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팀별 리뷰 문서 참조.


12.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편집]


GK: Mohamed El-Shenawy

RB: Youcef Atal
CB: Kenneth Omeruo
CB: Djamel Benlamri
LB: Youssouf Sabaly

CM: Idrissa Gueye
CM: Ismael Bennacer
AM: Youcef Belaili

RW: Riyad Mahrez
LW: Sadio Mane
ST: Odion Ighalo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7:50:25에 나무위키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